맨위로가기

M41 워커 불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41 워커 불독은 195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경전차로, M24 채피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51년 "워커 불독"으로 명명되었으나, 기술적 문제와 한국 전쟁의 발발로 인해 생산이 지연되었다. M41은 여러 차례 개량되었으며, 미국에서는 M551 셔리단으로 대체되었지만, 해외로 널리 수출되어 대만, 베트남, 태국 등에서 주력 전차로 사용되었다. 특히 베트남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통해 성능을 입증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전차 - M47 패튼
    M47 패튼은 한국 전쟁 중 개발된 미국의 중형전차로, M46 차체에 T42 포탑을 장착하고 90mm 주포와 향상된 장갑을 갖춘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며, 여러 NATO 국가에 배치되어 다양한 전투에 참전하고 개량되어 운용되다 퇴역했다.
  • 미국의 전차 - M1 에이브럼스
    M1 에이브럼스는 제너럴 다이내믹스 랜드 시스템스에서 생산하는 미국의 주력 전차로, 1980년 미 육군에 처음 도입된 이후 지속적인 개량을 거쳐 다양한 화력과 방어력을 제공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실전에서 성능을 입증했다.
  • 경전차 - 피아트 M14/41
    피아트 M14/4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중형전차로, M13/40 전차의 개선 버전이며 디젤 엔진을 탑재했지만 신뢰성 문제와 화재에 취약했고, 약 800대가 생산되어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노획된 차량은 연합군에 의해 사용되기도 했고, 세모벤테 da 90/53 구축전차의 기반이 되었다.
  • 경전차 - 피아트 M11/39
    피아트 M11/39는 제2차 세계 대전 초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중형 전차로, 돌파 전차로서 개발되었으나 고정된 주포 배치와 리벳 접합식 장갑 등의 결함으로 제한적인 성능을 보이며 M13/40 전차로 대체되었다.
M41 워커 불독
기본 정보
M41 불독 전차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 박물관)
M41 불독 전차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 박물관)
유형경전차
원산지미국
사용 국가참조: 운용국
참전피그스 만 침공
과테말라 내전
1964년 브라질 쿠데타
베트남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레바논 내전
오가덴 전쟁
중월 전쟁
소말리아 내전
2006년 태국 쿠데타
설계 시기1944년
생산 시기1951년~1954년
생산 대수5,467대
무게23.49 톤
차체 길이5.81 미터
3.19 미터
높이2.72 미터
승무원4명 (전차장, 포수, 장전수, 운전병)
무장
주무장76 mm M32A1 강선포 (65발)
부무장.30 구경 M1919A4 동축 기관총 (5,000발)
.50 구경 브라우닝 M2 상부 장착 기관총 (2,175발)
기동
엔진컨티넨탈 AOS-895-3 6기통 공랭식 가솔린 엔진
엔진 출력500 마력 (373 kW)
연료 용량530 리터
마력 대 중량비21.2 마력/톤
현가 장치토션 바
지상고0.45 미터
항속 거리161 킬로미터
속도72.4 킬로미터/시
장갑
재질용접 강철
포탑 전면25.4 mm
포탑 측면 및 후면25 mm
포탑 상부12.7 mm
차체 상부 경사면31.7 mm, 30도 각도
차체 하부 경사면25.4 mm, 45도 각도
차체 후면19 mm
차체 바닥9.25 mm
기타
단가미화 162,000 달러 (중고, 1988 회계연도 기준)
변형
운용
운용 시작미국 군대: 1953년~1969년
해외 운용국: 1961년~현재

2. 개발 및 생산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애버딘 시험장에서 시험 중인 T41 프로토타입 옆에 서 있다. (1951년 2월)


1946년 미국 육군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M24 채피 경전차를 대체할 새로운 정찰용 전차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4] 이 새로운 전차는 초기에 'T37'이라는 프로젝트명으로 불렸으나,[1] 전후 자금 부족 등으로 개발은 지연되어 1949년에 이르러서야 3종류의 시제품이 제작되었다.[1][9] 이 중 두 번째 시제품(T37 Phase Two)이 추가 테스트 대상으로 선정되어 'T41'이라는 명칭을 얻었고,[1][10] 최종 생산 직전 모델은 'T41E1'로 불렸다.[1]

T41E1은 뛰어난 기동성을 바탕으로 정찰 임무를 수행하고, 필요시 당시 소련의 중형전차와 교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1] 또한, 다른 미군 차량과 부품 호환성을 높이고[7] 대공 차량이나 병력 수송 장갑차 등 다양한 파생형을 만들 수 있는 모듈식 차체를 목표로 했다.[11] 특히, 기존에 사용되던 Continental 또는 라이코밍의 6기통 공랭식 가솔린 엔진에 맞춰 설계된 최초의 미국 전차 중 하나였다.[11] 그러나 완성된 T41E1의 무게는 약 약 23586.78kg에 달해, 당시 기준으로 중형전차에 가까웠고 공수 작전에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1]

1950년 8월, 미 육군은 T41의 생산을 주문했다.[12] 1951년 2월 애버딘 시험장에서 열린 시연회에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이 전차에 '워커 불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1950년 자동차 사고로 사망한 월튼 워커 장군을 기리기 위함이었다.[13][74]

초기 생산은 캐딜락이 맡아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진행되었다.[73] 1950년 8월 클리블랜드의 창고를 개조하여 생산 시설을 마련했고, 1951년 3월 첫 M41 워커 불독이 생산되었다.[15] 그러나 한국 전쟁 발발로 생산 일정이 앞당겨지면서[4] 강철 포탑에 거리 측정기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는 등[7]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때문에 1951년 7월부터 1952년 7월까지 4,000건 이상의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고,[14] 초기 생산된 M41 중 상당수(약 1,631대)는 결함이 해결될 때까지 창고에 보관되기도 했다.[14] 첫 M41 8대는 1951년 7월 미 육군에 인도되었으나,[14] 정식 부대 배치는 문제점을 개선한 M41A1 모델이 등장한 1952년 12월 이후에야 승인되었다.[14] 초기 M41 모델은 약 1,802대가 생산되었다.[6]

이후 M41A1, M41A2, M41A3 등의 개량형이 등장하며 탄약 적재량이 늘고 포와 포탑 시스템이 단순화되었다.[5] 최종적으로 약 5,500대의 M41 계열 전차가 생산되었다. 하지만 M41은 미국 내에서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7] 승무원들은 비좁은 포탑 내부에 불만을 제기했고,[7] 정찰 부대는 전차의 크기와 높이가 은밀한 정찰 활동에 방해가 된다고 비판했다.[4] 또한 무게 때문에 공수 부대 운용에도 제약이 따랐다.[7] 이러한 단점들은 결국 더 가볍고 공중 투하가 가능한 M551 셔리단 개발로 이어졌다.[4]

M41 생산은 1954년 말 중단되었고, 미 육군은 M47 패튼과 같은 중형전차 개발에 다시 집중했다.[4] 1960년대 후반, M41은 M551 셔리단으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 퇴역한 M41 대부분은 개조를 거쳐 브라질, 일본, 남베트남 등 동맹국에 판매되거나 기증되었다.[4][7] 일본육상자위대1960년대 초부터 1980년대 초까지 M41을 운용했으며, 국산 61식 전차가 배치되기 전까지 M24 채피, M4 중전차와 함께 주력 전차 중 하나로 사용했다.

2. 1. 한국 전쟁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당시 시제품 단계에 있던 T41 경전차의 초기 생산 차량이 실전 시험을 겸하여 한국 전쟁에 투입되었다.

실전 운용 과정에서 T41은 장착된 스테레오식 거리 측정기의 잦은 고장을 비롯한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 생산분을 제외한 T41의 추가 발주는 취소되었으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조준 장치를 기존 방식으로 변경하고 내부 공간이 더 넓은 포탑을 채택한 T41E1 모델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이 T41E1은 1953년 5월, '''M41 경전차''' (76mm Gun Tank M41)라는 제식 명칭을 부여받았다. M41의 양산은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의 캐딜락(Cadillac) 부문에서 담당했으며, 1953년 중반 첫 생산 차량이 완성되었다.

3. 특징

캐딜락이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M24 채피 경전차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73] 본래 정찰용으로 개발되었으나, 무게와 주포 성능 덕분에 보병 지원 및 공수 작전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71] 미군에 정식 채용된 후 처음에는 '리틀 불독'(Little Bulldog)으로 불렸으나, 1950년 지프 사고로 사망한 한국 전쟁 참전 군인 월튼 워커 장군을 기리기 위해 '''워커 불독'''(Walker Bulldog)으로 명명되었다.[74]

M41의 차체는 주조 및 용접된 강철 구조로,[6] 안정성이 입증된 M24 채피의 설계를 기반으로 크기를 키워 제작되었다.[76] 장갑은 M24보다 두꺼워졌지만, 당시 기술적 한계로 방어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지는 않았다.[76] 조종실은 차체 전면 왼쪽에 있으며,[1] 조종수는 해치를 닫고 전방 3개와 좌측 1개의 잠망경을 통해 조종한다.[6] 야간 투시 장비는 기본 사양이 아니었지만, 일부 모델에서는 적외선 탐조등이나 적외선 잠망경을 추가 장착할 수 있었다.[6] 조종수 좌석 아래에는 비상 탈출 해치가 있다.[1] 엔진실은 차체 후방에 있으며 방화 격벽으로 승무원 구역과 분리되어 있다.[6] 서스펜션은 토션 바 서스펜션 방식을 채택했으며,[6][1] 이는 이후 M60까지 이어지는 미국 전차의 보편적인 특징이 되었다.[76]

M41A3의 정면 클로즈업


표준 M41 포탑 역시 주조 및 용접된 강철 구조이며, 포탑 바스켓이 장착되어 있다.[1] 포탑에는 지휘관과 포수가 오른쪽에, 장전수가 왼쪽에 탑승한다.[6] 포탑 회전은 유압/전기 구동 방식으로 보조되며, 360° 회전에 약 10초가 소요된다.[1] 지휘관은 주간 잠망경과 5개의 시야 블록이 있는 큐폴라를 통해 외부를 관측하며, 이 큐폴라에는 해치도 달려 있다.[6] 장전수와 포수에게도 잠망경이 제공된다.[59] 일부 모델에서는 포탑 후면에 추가 수납 바스켓이 용접되어 있고, 포탑 지붕에는 돔 모양의 통풍구가 있다.[59]

M41은 수평 상단을 가진 독특한 경사형 전면 장갑판과 차체 후면 양쪽에 있는 대형 배기 파이프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2] 포탑 측면은 수직에 가깝지만 약간의 경사가 있으며,[2] 포탑 후면의 돌출부(버슬)와 수납 상자, 오른쪽에 위치한 지휘관 큐폴라, 주포의 포구 제동기와 포연 제거기 등도 식별 특징이다.[2]

무게는 25톤으로 M24보다 증가했지만, 강력한 엔진 덕분에 최고 속도 72km의 빠른 주행이 가능하여 경전차 본연의 정찰 및 수색 임무에 최적화되었다.[76] 주포로는 당시 대부분의 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 76mm M32 계열 고속포를 탑재했다.[76][6]

3. 1. 무장

M41 워커 불독의 주무장은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다. 기본형 M41에는 76mm M32/T91E3 전차포가 장착되었고,[6] M41A1, M41A2, M41A3 모델에는 개량형인 76mm M32A1 고속 강선포가 탑재되었다.[6] 이 76mm 포는 새로 설계된 60구경장 포로, 신형 76x580mmR 탄을 사용하여 기존 M4 중형전차의 M1 전차포나 M10 구축전차의 M7 전차포보다 가볍고 사거리와 위력이 향상되었다.[76] 포는 최대 +19.75°의 고각과 −9.75°의 부각을 가지며,[60] 수직 슬라이딩 방식의 노리쇠와 스프링 작동식 관성 타격 발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59] 안정적인 사격을 위해 포구 배연기, 배플, 동심형 유압 스프링 반동 시스템이 적용되었다.[59] 조준은 사수가 M97A1 망원 조준경을 통해 수동으로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이며,[59] 최대 유효 사거리는 약 4752m로 추정된다.[6]

사용 가능한 포탄으로는 고정식 고폭탄(HE), 철갑탄(AP), 고속 철갑탄(HVAP) 등이 있다.[6] 주요 탄약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M32A1 및 M32/T91E3 탄약[1][6]
유형모델무게 (kg)포구 속도 (m/s)
AP-TM339불명975
HVAP-TM31916.781,260
HEM35219.05731
WP-SMKM36119.05731
HVAP-DS-TM331불명1,257



1982년에는 AAI사가 M41의 화력 증강을 위해 76mm 날개안정분리철갑탄(APFSDS) 포탄을 개발했으며, 덴마크중화민국에서 이 신형 탄약을 도입했다.[6]

부무장으로는 주포 왼쪽에 동축 기관총 1정과 포탑 상부에 기관총 1정을 장착했다. 미 육군 사양 기준으로 동축 기관총은 .30 구경(M1919) 기관총이,[1] 포탑 상부에는 .50 구경(M2) 기관총이 외부 장착되었다.[1] 초기 생산분에는 동축 기관총으로 M2 중기관총이 장착되기도 했으나, 이후 M1919 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76]

3. 2. 기동성

M24보다 크기가 커지고 무게도 25톤으로 증가했지만, 500마력의 콘티넨탈 AOS-895-3 수평대향 6기통 가솔린 엔진과 초신지 선회가 가능한 앨리슨 CD-500-3 자동 변속기(전진 2단, 후진 1단) 덕분에 기동성은 오히려 향상되었다.[76][1] 최대 속도는 시속 72km에 달해 경전차 본연의 정찰 및 수색 임무에 적합했다.[76] 조종 장치는 기존 전차의 레버 대신 T자형 핸들을 채택하여 조작 편의성을 높였다.



서스펜션은 토션 바 서스펜션 방식을 사용하며, 각 측면에 5개의 보기륜(1, 2, 5번 륜에 유압식 충격 흡수 장치 장착), 후방 구동륜, 전방 유동륜, 3개의 지지륜으로 구성된다.[6][1] 이 서스펜션 방식은 이후 M60까지 이어지는 미국 전차의 특징이 되었다.[76]

M41은 도하 능력도 갖추어 별도 준비 없이 최대 1.016m, 준비 시 최대 2.44m 깊이의 하천을 도하할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 차체 내부에 전동식 배수 펌프가 장착되었다.[1][6]

차체는 용접된 강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조종실은 전차의 전면 왼쪽에 위치한다.[6][1] 조종수는 해치를 닫았을 때 전방 3개, 좌측 1개의 잠망경을 통해 전차를 조종한다.[6] 엔진실은 차체 후방에 위치하며, 방화 격벽으로 승무원 구역과 분리되어 있다.[6]

4. 수출 및 실전 기록

M41 워커 불독은 미국의 경전차 중 해외로 가장 많이 수출된 모델로, 상당수가 아시아 국가에 제공되었다.[71]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정비 편의성, 경전차임에도 준수한 화력 덕분에 대만, 베트남, 태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주력 전차로 운용하기도 했다.

시제 차량인 T41은 개발 중 한국 전쟁에 투입되기도 했다. 당시 미국 육군이 운용하던 M24 채피 경전차는 조선인민군T-34-85 전차에 비해 성능이 부족했기에, T-34에 대항할 화력을 갖춘 T41에 대한 기대가 컸다. 그러나 시험이 끝나기도 전인 1951년 투입된 T41은 스테레오식 거리 측정기의 잦은 고장과 오차, 좁은 포탑 내부 공간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 때문에 양산형 원형차인 T41E1에서는 조준 장치를 변경하고 포탑 설계를 개선했다.

1961년 피그스 만 침공 당시, CIA는 쿠바피델 카스트로 정권에 반대하는 망명자들로 구성된 2506 여단에게 M41 전차 5대를 제공하여 운용했으나,[16][17]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고 전차들은 파괴되거나 노획되었다.[18][19]

1960년대 초, 아르헨티나는 미국으로부터 M41 5대를 대여 형식으로 도입했으나,[29] 양국 간 정치적 문제로 인해 곧 운용을 중단하고 반환했다.[29] 이후 아르헨티나는 AMX-13 경전차를 도입했다.[29]

1968년 4월 리우데자네이루 거리의 브라질 M41


브라질은 1960년부터 M41 386대를 도입하여 21세기 초까지 주력으로 운용했다.[4] 1980년대 중반에는 Bernardini 사를 통해 대대적인 현대화 개량을 실시하여 M41B 및 M41C 모델을 개발했다.[11] 이 개량형은 디젤 엔진 탑재, 장갑 강화, 90mm 주포(벨기에산 HEAT-FS탄 사용) 교체, 변속기 개선 등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켜 최대 도로 주행 속도를 70km/h로 만들었다.[11][4][6]

M41은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군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레바논 내전에서도 정부군 및 여러 민병대 세력이 운용했다. 이 외에도 서독, 일본, 대만, 우루과이 등 다수의 국가에서 도입하여 운용했으며, 일부 국가는 자체적인 개량을 거쳐 운용 수명을 연장하기도 했다. 자세한 국가별 운용 현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베트남 전쟁

남베트남 훈련 작전 중의 M41 전차


1960년 사이공에서 적 진지에 맞서 작전 중인 ARVN M41


베트남 공화국 육군(ARVN)의 초기 기갑 부대는 1950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절 창설되어 낡은 M24 채피와 M5 스튜어트 경전차를 운용했다.[20]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까지 이 부대는 주로 방어적인 역할에 머물렀으며, 장비 노후화와 물류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20] 1962년 베트남 군사 지원 사령부(MACV) 창설 이후 미국 육군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ARVN 기갑 부대는 미군 기병 연대를 모델로 재편성되었다.[20] 미국 고문들은 기존 M24를 현대화하려 했으나, 미 육군 내 M24 부품 재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0]

1964년 중반, MACV는 ARVN 기갑 부대를 5개 전차 대대로 증강하고 M41 워커 불독으로 교체할 것을 제안했다.[20] 1965년 1월부터 4월 사이, 기존 M24는 퇴역하거나 공군 기지 방어용으로 전환되었고 M41A3가 그 자리를 대체했다.[20] M41은 비교적 작은 체형의 남베트남 승무원들에게 내부 공간이 적합하여 인기가 있었다.[7] ARVN의 M41은 도입 1년도 안 되어 1966년 불교도 봉기 진압 작전에 투입되어 첫 실전을 치렀으며, 주로 다낭 등지에서 시가전 중 보병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21]

M41은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여러 주요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68년 구정 공세 당시에는 주요 거점 방어 임무에서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75] 특히 1971년 라오스 침공 작전인 람손 719 작전에서 ARVN M41은 주목할 만한 활약을 보였다. 작전 초기, 17대의 M41은 베트남 인민군(PAVN)의 T-54 및 PT-76 전차와의 교전에서 T-54 6대와 PT-76 17대를 파괴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베트남 전쟁 최초의 대규모 기갑전 중 하나였다.[21][22] 이 교전에서 ARVN 측은 M41 5대와 장갑차(APC) 25대를 주로 지뢰와 로켓 추진 유탄(RPG) 공격으로 잃었다.[21]

그러나 람손 719 작전의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다. PAVN은 재정비 후 반격을 가했고, 수적으로 열세였던 ARVN 부대는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20] ARVN 지휘부는 작전 계획 단계에서 PAVN의 기갑 전력을 과소평가했으며, 이에 대응할 충분한 전차나 대전차 무기가 부족했다고 평가했다.[23] 작전 후반, M41은 기동성을 포기하고 고정된 포대처럼 운용되었으며,[20] 이는 PAVN 전차에게 측면 공격의 기회를 주었다. 결국 무질서한 철수 과정에서 다수의 M41이 승무원에 의해 버려졌고,[23] ARVN은 이 작전에서 총 54대의 M41 전차를 손실했다.[24]

1972년 PAVN의 부활절 공세에서도 M41은 비슷한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좁은 길목에서 방어 태세를 취하며 접근하는 PAVN의 T-54나 59식 전차를 상대하려 했으나,[22] 기동성을 살리지 못해 PAVN 전차의 우회 기동에 취약했고 포위당하기 일쑤였다.[22] 또한, 고정된 M41 진지는 PAVN 보병이 운용한 9M14 말류트카(AT-3 새거) 대전차 미사일의 좋은 표적이 되었다.[20] 일부 M41은 PAVN에게 노획되어 안록 전투 등에서 ARVN과 미군을 상대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미군은 M72 LAW를 이용해 이 노획 전차들을 파괴해야 했다.[25]

미국은 1965년부터 1972년까지 총 580대의 중고 M41A3를 ARVN에 지원하여 손실을 보충했다.[26] 그러나 1972년 이후에는 M48 패튼 전차가 주로 도입되면서 M41은 점차 대체되었다.[27][22] (MACV 기록에 따르면 1974년에도 19대의 M41이 인도되었다는 상반된 정보도 존재한다.[28])

결과적으로, 1975년 춘계 공세 당시 ARVN이 보유했던 M41 중 약 300대가 PAVN에 의해 파괴되거나 노획되었다.[22]

4. 2. 레바논 내전

1958년, 레바논 육군1958년 레바논 위기 당시 운용하던 노후된 영국제 셔먼 파이어플라이 중형 전차와 프랑스제 오토키스 H35 및 르노 R35 경전차를 대체할 목적으로 미국으로부터 20대에서 50대 사이의 M41A3 전차를 도입했다.[30]

레바논 육군 소속 M41의 첫 실전 투입은 1969년 11월 21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레바논 남부 라샤야 지역에서 발생한 국경 충돌 중 나바티예 마을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 게릴라 부대와 교전을 벌였다. 이후 1970년대 초에는 레바논 남부의 파타랜드 내 수크 엘칸 지역에서도 교전에 참여했다.[31]

레바논 내전이 발발한 1975년부터 1977년까지 M41은 레바논 육군뿐만 아니라 베이루트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여러 무장 단체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1976년 1월, 레바논군 (LAF)의 지휘 체계가 사실상 붕괴되면서 보유하고 있던 M41의 상당수가 서로 대립하던 기독교 우파 성향의 레바논 전선과 이슬람 좌파 성향의 레바논 국민 운동 (LNM) 소속 민병대들에게 넘어갔다. 또한, 레바논 아랍군 (LAA)이나 자유 레바논군 (AFL)과 같이 정부군에서 이탈한 반군 세력에게 탈취되기도 했다.[32][33] 이 외에도 카타이브 규제군 (KRF),[34][35] 타이거스 민병대,[36] 인민 해방군 (PLA) 등 다양한 민병 조직들이 M41을 확보하여 운용했다.[37][38]

내전 중 민병대들이 사용했던 M41 전차 중 최소 18대는 1977년에서 1978년 사이에 다시 레바논 육군으로 반환되었다. 이 전차들은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이어진 산악 전쟁 기간까지 운용되다가 최종적으로 퇴역했다. 퇴역한 M41의 자리는 미국요르단으로부터 지원받은 M48A1 및 M48A5 주력 전차가 대체하게 되었다.[39]

4. 3. 기타 국가

M41 워커 불독은 미국 경전차 중 해외로 가장 많이 수출된 전차였으며, 상당수가 아시아 국가에 제공되었다.[71]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쉬운 정비, 경전차임에도 준수한 화력 덕분에 대만, 베트남, 태국 등에서는 M41을 주력 전차로 운용하기도 했다.

특히 남베트남은 M41을 실전에 투입하여 그 성능을 입증했다. 1968년 구정 대공세 당시 주요 거점 방어 임무를 수행하던 남베트남군의 M41은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1971년 '람손 719 작전' 중 벌어진 기갑전에서는 남베트남군 M41이 단 한 대의 손실 없이 월맹군의 T-54 전차 6대와 PT-76 경전차 16대를 격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월맹군의 반격으로 후퇴 과정에서 많은 M41이 유기되기도 했지만, 전차전 자체만 보면 M41은 뛰어난 전투력을 발휘했다고 평가받는다. 이는 화력만 충분하다면 경전차로도 어느 정도 기갑전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였다.[75] 베트남 전쟁 종전 후, 통일 베트남은 남베트남군으로부터 M41을 노획하거나 인수하여[1] 상당수를 예비 물자로 보관하고 있다.[64]

1957년 10월 2일, 독일 트라타우와 노이뮌스터 지역에서 열린 ''Manöver Südwind'' 훈련 중 제3기갑사단의 ''Kampfgruppe A 3'' 소속 M41 전차.


M41 워커 불독 운용 국가 현황. 파란색은 현재 운용국, 빨간색은 과거 운용국.


중화민국 육군 전차 학교 공개 행사에서 전시된 M41D


2006년 쿠데타 당시 방콕에 전개된 태국 왕립 육군 소속 M41


사우디아라비아 육군의 M41 워커 불독 기동 훈련 모습.

  • '''뉴질랜드''': 1960년, 왕립 뉴질랜드 기갑군은 노후화된 발렌타인 전차를 대체하기 위해 M41 10대를 도입했다.[40] 이로 인해 뉴질랜드 기갑군은 2개 전차 중대에서 M41과 M113 장갑차로 구성된 1개 기병 중대로 개편되었다.[40] 1959년 도입 결정 후 육군 정비 기술자들이 포트 녹스에서 사전 교육을 받았다.[41] 베트남 전쟁 중 맥스웰 D. 테일러 장군이 뉴질랜드의 M41 파병을 제안했으나 거부되었고, 대신 호주가 센츄리온 전차를 파견했다.[20] 1978년, 노후화와 예산 부족으로 M41은 비효율적인 장비로 간주되었고,[42] 1983년 FV101 스콜피온으로 대체되며 퇴역했다.[42] 단 1대만이 뉴질랜드 국립 육군 박물관에 기증되어 보존 중이다.[43]

  • '''남아프리카 공화국''': 1970년대 중후반, 남아프리카 방위군(SADF)이 M41을 운용한다는 주장이 국제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1975년 앙골라 침공 작전인 ''사바나 작전''에 사용되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44][45][46] 1977년 경제학자 션 게르바시는 SADF가 M41 100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으며,[47] 이 주장은 여러 문헌에서 반복되었다.[48][49][50]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81에 따른 대남아공 무기 금수 조치 이후, 게르바시는 미국 하원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했다.[51] 당시 미국 국무부는 무기 금수 조치 이전인 1950년대 초 평가 목적으로 M41 1대를 남아프리카에 인도한 사실은 인정했지만, 대량 공급설은 부인했다.[52] 그럼에도 앙골라 정부는 1982년까지 미국이 공급한 M41이 남아프리카의 앙골라 침공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53] 공식적으로 확인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M41 보유량은 평가 목적으로 도입된 1대이다.[52]

  • '''중화민국''': 중화민국 육군(ROCA)은 1958년부터 미국의 군사 원조로 M41A3을 도입하기 시작하여[54] 한때 다양한 개량형을 포함해 700대를 운용했다.[54] 최전선에서 운용되던 전차들은 대대적인 개량을 거쳐 M41D로 재명명되었고, 개량되지 않은 M41A3은 훈련 및 예비용으로 전환되었다.[54] 2022년 2월, 중화민국 육군은 남아있는 M41A3의 퇴역을 발표했지만, M41D는 계속 운용할 예정이다.[54]

  • '''우루과이''': 1981년 기갑 부대 현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벨기에로부터 FN-4RM/62F 경장갑차 20대와 M41A1 22대를 구매했다.[27] 이 전차들은 수출 전 독일에서 신형 장갑판 설치, 주포를 90mm 코커릴 Mk. IV 포로 교체, FN MAG 동축 기관총 장착 등의 개조를 거쳤다.[29] 신형 주포는 고폭 대전차 탄두(HEAT)와 고폭 점착탄(HESH)을 사용했다.[6] ''M41A1U''로 명명된 이 전차들은 1991년 브라질에서 디젤 엔진으로 추가 개조되었다.[27] 현재 25대의 M41A1UR과 50대의 M41C를 운용 중이다.[6][63]

  • '''서독''': M41은 1955년 서독의 연방군 창설 이후 도입된 최초의 전후 전차였다.[55][56] 주로 정찰 임무에 투입되어 각 사단 기갑 정찰대대에 1개 중대씩 배치되었고, Schützenpanzer SPz 11-2 Kurz 궤도 정찰차와 함께 운용되었다.[57] 그러나 경전차 개념은 연방군 내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했고, 1966년까지 모든 M41은 더 중무장한 M48 패튼레오파르트 1로 대체되었다.[57] 또한 1969년까지 사단 대전차 대대 및 기계화 보병 대대의 대전차 소대에서 대전차 자주포 역할로도 사용되었다.[58] 총 50대를 운용했다.[55][27]

  • '''일본''': 육상자위대는 제2차 방위력 정비 계획에 따라 미국으로부터 무상 원조 형태로 M41 획득을 추진했다. 당초 225대를 계획했으나, 최종적으로 147대의 M41A2를 공여받았다. 이 중 일부는 서독에 공여되었다가 반환된 차량이었다. 1961년부터 M24 경전차를 대체하며 배치되었고, 국산 61식 전차 개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운용되었다. 자위대에 공여된 미국 전차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마지막 차량은 74식 전차가 배치된 이후인 1983년에 퇴역했다. 자위대에서 퇴역 후 미국으로 반환된 차량 일부는 대만에 재공여되었다.

  • '''칠레''': 60대를 운용했으며,[6] 1973년 9월 11일 칠레 쿠데타에 투입되기도 했다. 이후 레오파르트 1 전차로 대체되었다.[6]

  • '''태국''': 200대를 운용했으며,[6][66] 2006년 9월 19일 군사 쿠데타 당시 수도 방콕에 M41이 전개되기도 했다.

  • '''2506 여단''': 피그스 만 침공 당시 5대를 운용했으나, 모두 파괴되거나 쿠바군에 노획되었다.[18][19]


이 외에도 M41은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국가보유 수량/상태비고
현재 운용국
중화민국50대 (M41D) [6][27]M41A3 퇴역, M41D 운용 중
도미니카 공화국12대 (M41A1 10대 현역) [6]
과테말라10대 [6][27]
우루과이25대 (M41A1UR), 50대 (M41C) [6][63]M41A1U 개량형 운용
베트남수량 미상 [1]남베트남으로부터 노획/인수, 대부분 예비 보관 [64]
과거 운용국
오스트리아40대 [27]
아르헨티나5대 [29]차관 형식 도입 후 반환
벨기에135대 [27]
브라질386대 [6]
칠레60대 [6]레오파르트 1으로 대체
덴마크53대 [27]M41DK-1 개량형 운용
에티오피아54대 [27]
서독50대 [55][27]M48 패튼, 레오파르트 1으로 대체
그리스81대 [27]
일본147대 [4]61식 전차, 74식 전차로 대체
레바논18대 (레바논군) [27]내전 중 다수 민병대 노획 사용
뉴질랜드10대 [27]FV101 스콜피온으로 대체
파키스탄50대 [27]
필리핀7대 [27]
포르투갈수량 미상 [62][44]
사우디아라비아60대 [27]
소말리아10대 [6][65]
남아프리카 공화국 (1928-1994)1대 확인 (평가용) [52]90~100대 운용 주장 있었으나 논란 [47][51]
남베트남350대 [27]베트남 전쟁 패망 후 소멸
스페인245대 [27]
수단53대 [62]1981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기증
태국200대 [6][66]일부 현역 가능성 있음
튀니지12대 [27]
터키100대 [27]
미국- [14]개발 및 원 운용국
비국가 행위자 (과거)
자유 레바논군수량 미상 [33]레바논군 재고 노획
2506 여단5대 [18][19]피그스 만 침공 시 운용
카타이브 규제군수량 미상 [34][35]레바논군 재고 노획
호랑이 민병대수량 미상 [36]레바논군 재고 노획
레바논 아랍군수량 미상 [32]레바논군 재고 노획
레바논 인민해방군수량 미상 [37][38]레바논군 재고 노획


5. 파생형

M41 워커 불독이 생산에 들어갔을 때, 단일 전차용 섀시와 차체만 생산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다고 여겨졌다. 이에 미국 육군은 물류를 단순화하기 위해 M41과 동일한 섀시, 엔진, 궤도 및 관련 부품을 최대한 공유하는 다양한 지원 차량 개발을 추진했다.[14] 캐딜락은 M41의 섀시와 구동계를 기반으로 M42 더스터 대공 차량, M44 및 M52 자주포, M75 장갑차 등을 제작했다.[6]

그러나 이들 파생 차량의 획득 과정은 M41과 달리 시제품 제작 및 시험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위험했다.[14] 1951년 1월, 미 육군 병기 부대 대표는 요구 사항 충족 압박 속에서 "완전한 시험과 평가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내재된 특정 위험이 있다는 것을 완전히 인지하고" 이들 차량의 생산을 승인하기로 합의했다.[14] 이 계열 차량들의 기술적 문제와 M41 자체의 문제점으로 인해 미 육군은 결국 M75 장갑차만을 대량으로 채택하게 되었다.[14]

M41 자체도 다양한 개량형과 파생형이 존재한다. 초기 생산형인 '''M41''' 이후 성능을 개선한 '''M41A1''', '''M41A2''', '''M41A3''' 등이 개발되었으며, 미국 해군용 원격 조종 표적 차량인 '''QM41'''도 제작되었다.[1][6][61] 또한 화력 강화를 위해 90mm 포를 탑재한 '''T49'''나 105mm 포 탑재를 시도한 '''M41 105'''와 같은 실험 모델도 있었다.[59][62] 이 외에도 브라질, 중화민국, 덴마크, 스페인, 태국, 우루과이 등 여러 국가에서 M41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개량형을 개발하여 운용했다. 상세한 파생형 및 개량형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5. 1. 해외 개량형


  • '''M41B''': 브라질 육군을 위해 베르나르디니에서 현대화한 M41이다.[5] 405마력의 출력을 내는 새로운 Saab-Scania DS-14A 04 8기통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70km/h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5] 라디에이터와 대형 팬 2개로 구성된 새로운 냉각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며, 이 장치의 크기 때문에 후방 차체를 완전히 새로 제작해야 했다.[5] 기존 76mm 포는 90mm 구경으로 확대되고 단축되었으며, 포신에 밸런서, 포미에 토션 바 보상 장치가 장착되었다. 이 개조된 M32 주포는 'Ca 76/90 M32 BR2'로 알려져 있다.[5]
  • '''M41C''': 브라질 해병대의 요구 사양에 맞게 M41B를 재건한 버전으로, 다른 DS-12 OA 디젤 엔진과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포함한다.[5]
  • '''MB-3 타모요/타모요 III''': 브라질 육군용으로 베르나르디니가 개발한 현대화 개수형이다.
  • '''M41D''': 중화민국 육군에서 개조한 M41로, 새로운 Detroit Diesel 8V-71T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72km/h에 도달하고 항속거리를 450km로 늘렸다.[6] 포탑은 중화민국에서 생산한 M32 주포의 변형인 M32K1과 동축 기관총으로 FN MAG 기반의 Type 74를 탑재하도록 변경되었다.[6] M32K1은 배연기와 다른 소염기를 갖추고 있으며, 열상 조준경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6] 2022년에 퇴역했다.[67]

중화민국 육군의 M41D.

  • '''Type 65''': 중화민국 육군이 설계한 M41 파생형으로, M41D와 유사하지만 장갑이 더 두껍고 동축 M60 기관총을 장착했다.[6] Type 65가 중화민국에서 면허 생산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재건된 M41A2/M41A3인지는 불분명하다.[6] M41 시리즈와 달리 Type 65의 포탑은 완전히 주강으로 제작되었으며 내부 공간이 더 작다.[6]
  • '''M41 DK-1''': 덴마크 육군에서 개조한 M41로, CBRN 방어 시스템, 외부 레이저 거리 측정기, 열상 장비를 갖추었다.[2] 또한 APFSDS탄을 도입하고 커민스 디젤 엔진으로 교체하는 등 70개 항목에 걸쳐 개량되었다. 1988년까지 53량이 개수되었다.

덴마크 육군의 M41 DK-1.

  • '''M41E''': 스페인 육군에서 개조한 M41로, 400마력의 출력을 내는 새로운 General Motors 8V-71T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이로 인해 전차의 항속거리가 약 483km로 증가했다.[5]
  • '''M41GTI''': 독일 회사 GLS가 태국 육군을 위해 현대화한 M41이다. 442마력의 출력을 내는 새로운 MTU MB 833 Aa501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60km/h에 도달하고 항속거리를 600km로 늘렸다.[5] 76mm 주포는 열상 조준경 및 레이저 거리 측정기와 함께 MOLF 41 디지털 사격 통제 시스템에 연결되었으며, 새로운 동축 기관총으로 헤클러&코흐 HK21이 장착되었다.[5]
  • '''M41 HAKO''': 스페인 육군이 자체 개발한 자주 대전차 미사일 차량이다. 포탑을 제거하고 전투실을 새로 설치하여 HOT 대전차 미사일 발사관 4기를 탑재했다.[62]
  • '''M41U''': 우루과이 육군을 위해 벨기에에서 개발한 현대화 개수형으로, ''M41A1U''라고도 불린다.[59][27] 1981년 우루과이가 M41A1 22대를 도입한 후[27] 독일 계약업체가 개조했으며, 개선된 장갑판을 설치하고 포탑 무장을 벨기에에서 설계한 90mm 코커릴 Mk. IV 주포와 동축 FN MAG 기관총으로 교체했다.[29] 새로운 주포는 고폭 대전차 탄두 (HEAT)와 고폭 연성 탄두 (HESH)를 발사할 수 있다.[6] 1991년에는 브라질 회사에서 디젤 엔진으로 개조했다.[27]

5. 2. 기타 파생형



M41 워커 불독은 기본형 외에도 다양한 실험 모델과 국가별 개량형, 차체를 활용한 파생 차량들이 존재한다.

'''프로토타입'''

  • '''T37''': M41의 원형 차량으로, 페이즈 I, II, III가 존재했다.
  • '''T41''': T37 페이즈 II를 개칭한 모델 및 그 발전형 3량을 지칭한다.
  • * '''T41E1''': T41의 개량형으로, M32 전차포를 장비했다.


'''기본 생산 모델'''

  • '''M41''':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생산된 초기 양산 모델이다.[14] M76/T138E1 마운트에 M32/T91E3 76mm 강선포를 장착하고 76mm 탄약 57발을 탑재했다.[6] 포탑 선회는 펄스 릴레이 시스템과 전기 구동 장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AOS-895-3 가솔린 엔진으로 구동되었다.[1]
  • '''M41A1''': 기본 M41을 대체한 본격 양산형 모델이다.[6] 1953년에 수동 백업 기능이 있는 개선된 유압 포탑 선회 시스템을 받았다.[61] M76A1 마운트에 M32A1 76mm 강선포를 장착했으며,[6] 76mm 탄약 탑재량이 65발로 증가했다.[6]
  • '''M41A2''': 1956년에 도입된 M41A1의 개선형이다. 연료 소비량이 적은 연료 분사식 AOS-895-5 엔진[61], 전차장용 듀얼 파워 포탑 선회 장치, 피니언형 포신 고저 장치를 갖추었다.[6]
  • '''M41A3''': M41A1 전차를 M41A2와 동일한 연료 분사 엔진으로 업그레이드한 모델이다.[61] 최종 생산형으로, A2형의 포탑 선회 및 포 앙각 기구를 더욱 개량했다.


'''특수 목적 차량'''

  • '''QM41''': 미국 해군이 원격 조종 메커니즘을 장착하여 무기 테스트용 무인 표적/표적 견인 차량으로 개발한 모델이다.[1] 포탑을 제거하고 돔형 구조물과 무선 안테나를 탑재했다.


'''화력 강화 시도'''

  • '''M41 105''': 스팅레이 경전차의 포탑과 105mm 포를 장착한 M41 차체이다. 캐딜락 게이지에서 기존 M41의 시장 업그레이드를 위해 시험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59]
  • '''T49''': 주포를 T132 90mm 포로 변경한 화력 증강형 프로토타입이다. 주포 대형화에 맞춰 포가와 포탑 형상이 일부 변경되었다. 1954년 5월부터 1955년 5월까지 실용 시험이 실시되었으나, 차체 크기에 비해 반동이 커 사격 정밀도가 낮아 채택되지 않았다.[62] 1958년에는 주포를 M48 전차용 T139 90mm 포로 변경하는 안이 제안되었지만, 후계 M551 셰리단 공수 경전차 개발이 진행 중이어서 기각되었다.
    T49
  • '''M41(XM551 포탑)''': M551 셰리단 공수전차 개발 과정에서 XM551 시제품 포탑을 M41 차체에 탑재하여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차량이다. 1967년 8월에는 152mm 건 런처를 탑재한 화력 평가 시험이 이루어졌으나, 당시 시레이라 대전차 미사일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 이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M41 차체에 M551 포탑과 저반동 105mm 포를 탑재한 '''M41-105'''가 구상되었으나 시제품 제작에 그쳤다.


'''국가별 개량형'''

  • '''M41B''': 브라질 육군을 위해 Bernardini S/A Industria e Comercio에서 현대화한 모델이다.[5] 405hp 출력의 Saab-Scania DS-14A 04 8기통 디젤 엔진과 새로운 냉각 시스템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70km/h를 달성했다.[5] 이를 위해 완전히 새로운 후방 차체를 제작해야 했다.[5] 76mm 포는 90mm 구경으로 확대 개조되어 Ca 76/90 M32 BR2|카 76/90 M32 BR2por로 명명되었다.[5]
  • '''M41C''': 브라질 해병대 사양에 맞춰 개조된 M41B이다. DS-12 OA 디젤 엔진과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포함한다.[5]
  • '''M41D''': 중화민국 육군에서 개조한 모델이다. Detroit Diesel 8V-71T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72km/h, 항속 거리 450km를 확보했다.[6] 포탑은 중화민국산 M32K1 포(배기 장치, 소염기 개량, 열상 조준경 추가)와 동축 Type 74(FN MAG) 기관총을 탑재하도록 변경되었다.[6]
  • '''M41 DK-1''': 덴마크 육군에서 개조한 모델이다. CBRN 방어 시스템, 외부 레이저 거리 측정기, 열상 장비를 갖추었다.[2]
  • '''M41E''': 스페인 육군에서 개조한 모델이다. 400hp 출력의 General Motors 8V-71T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항속 거리가 약 483km로 증가했다.[5]
  • '''M41GTI''': 독일 GLS사가 태국 육군을 위해 현대화한 모델이다. 442hp 출력의 MTU MB 833 Aa501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도 60km/h, 항속 거리 600km를 달성했다.[5] 76mm 포는 MOLF 41 디지털 사격 통제 시스템(열상 조준경, 레이저 거리 측정기 포함)과 연동되었고, 동축 기관총은 HK21으로 교체되었다.[5]
  • '''M41 HAKO''': 스페인 육군에서 HOT (미사일) 대전차 유도 미사일 발사기를 탑재하도록 개조한 무포탑 모델이다.[62]
  • '''M41U''': 우루과이 육군을 위해 벨기에에서 개발한 모델이다. 장갑을 강화하고 벨기에제 90mm Cockerill Mk. IV 포와 동축 FN MAG 기관총을 탑재하도록 포탑을 개조했다.[29][59]
  • '''Type 65''': 중화민국 육군에서 설계한 M41이다. M41D와 유사하지만 장갑이 더 두껍고 동축 M60 기관총을 장착했다.[6] 중화민국에서 면허 생산된 파생형인지, 단순히 재건된 M41A2/M41A3인지는 불분명하다.[6] M41 시리즈와 달리 포탑이 완전 주강으로 제작되었고 내부 용적이 더 작다.[6]


'''차체 기반 차량'''

  • '''M42 더스터 대공 자주포''': M41 차체에 보포스 40mm 기관포 2문을 탑재한 대공 자주포이다.
  • * '''64식 경전차''': 중화민국 육군이 M42 대공 자주포 차체에 M18 구축전차의 포탑을 탑재하여 독자적으로 제작한 경전차이다.
  • '''M44 155mm 자주 곡사포''': M41의 차대와 구동계를 활용하여 24구경 155mm M45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포이다.
  • '''M52 105mm 자주 곡사포''': M41의 차대와 구동계를 활용한 차체에 24구경 105mm M49 곡사포를 탑재한 포탑을 장착한 자주포이다.


'''제원 비교'''

T37T41M41 & M41A1M41A2 & M41A3T49
길이약 741.93cm약 805.43cm약 809.24cm (초기 소염기)
약 812.29cm (후기 소염기)
약 812.29cm약 795.02cm
너비약 322.58cm약 319.79cm약 327.41cm
높이약 259.08cm (포탑 상단)약 274.32cm약 301.75cm약 323.34cm (기관총 상단)
지상고약 44.45cm
최고 속도41mph45mph
도섭 능력약 111.76cm약 114.30cm약 121.92cm
최대 등판 능력60%
최대 참호 통과약 2.44m약 1.52m약 2.44m약 1.83m
최대 수직 장애물 통과약 66.04cm약 71.12cm
항속 거리약 241.40km약 177.03km약 177.03km (약 450.62km w/ 제트 연료 탱크)약 160.93km
엔진 출력 (마력)500hp at 2800 rpm
중량 대비 마력20.7hp/ST19.4hp/ST19.5hp/ST (M41)
19.3hp/ST (M41A1)
20.5hp/ST (M41A2)
20.3hp/ST (M41A3)
18.8hp/ST
토크945lbft at 2400 rpm960lbft at 2400 rpm
전투 중량약 21899.42kg약 23405.35kg약 23223.91kg (M41)
약 23496.07kg (M41A1)
약 23223.91kg (M41A2)
약 23496.07kg (M41A3)
약 24131.09kg
접지압9.4psi10.1psi9.6psi (M41)
9.7psi (M41A1)
9.6psi (M41A2)
9.7psi (M41A3)
주무장T94 76mmT91 76mmM32 76mmT132E3 90mm
포신 부앙각+20° / -9°+20° / -10°+19.5° / -9.5°
포탑 선회 속도 (360°)12 초11 초10 초13 초
포신 고저 속도6°/초4°/초
주포 탄약 탑재량60 발46 발57 발 (M41)
65 발 (M41A1)
57 발 (M41A2)
65 발 (M41A3)
미상
발사 속도분당 12 발분당 10 발


6. 한국에서의 운용

(작성할 내용 없음)

참조

[1] 문서 Foss, 1976. p 213–216
[2] 서적 Jane's Tanks and Combat Vehicles Recognition Guide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Publishers 2000-05-16
[3] 웹사이트 M41 Walker Bulldog https://www.forecast[...] Forecast International, Incorporated 2017-06-26
[4] 서적 Tanks: 100 Years of Evolution Osprey Publishing 2015-01-01
[5] 서적 A Compendium of Armaments and Military Hardware Routledge & Kegan Paul
[6] 서적 Jane's Armour and Artillery 2005–2006 Jane's Information Group
[7] 서적 Tanks: Inside And Out Rosen Publishing Group 2015-04-01
[8] 서적 Department of the Army Technical Manual FM 17-80:Tanks, 76-mm Gun M41 and M41A1 Department of the Army
[9] 서적 Camp Colt to Desert Storm: The History of U.S. Armored Forces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9-08-01
[10] 서적 The Best Light Tank https://books.google[...] Time Inc 2010-11-02
[11] 서적 Tank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ABC-CLIO
[12] 뉴스 House Group Seeks to Rush New Tanks; Armed Services Expediting Panel on Radar Also Set for Inquiry This Week https://www.nytimes.[...] 2018-08-19
[13] 뉴스 Latest Guns Score in Test for Truman https://www.nytimes.[...] 2018-08-19
[14] 간행물 History of Acquisition in the Department of Defense, Volume I: Rearming for the Cold War, 1945–1960 http://history.defen[...] Historical Office of the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017-01-04
[15] 뉴스 Army Receives 'Best Light Tank in the World' as production of 'Walker Bulldog' is Started https://www.nytimes.[...] 2018-08-19
[16] 웹사이트 Memorandum From the Joint Chiefs of Staff to Secretary of Defense McNamar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9-29
[17] 웹사이트 Memorandum From the Joint Chiefs of Staff to Secretary of Defense McNamar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9-29
[18] 서적 The Bay of Pigs: Cuba 1961 Osprey Publishing 2009-01-01
[19] 서적 The Brilliant Disaster: JFK, Castro, and America's Doomed Invasion of Cuba's Bay of Pigs https://archive.org/[...] Scribner Publishers 1997-01-01
[20] 서적 Armor Combat in Vietnam https://archive.org/[...] Arno Press 1980-01-01
[21] 서적 Armour of the Vietnam Wars Osprey Publishing 1985-01-01
[22] 서적 Armor in Vietnam: A Pictorial History Squadron and Signal Publications, Incorporated 1982-01-01
[23] 서적 Invasion of Laos, 1971: Lam Son 719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15-01-01
[24] 문서 Lam Son 719. Major-General Nguyen Duy Hinh.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15. P.126,131
[25] 서적 Cavalry From Hoof To Track Praeger Books 2008-01-01
[26] 문서 The RVNAF. Van Khuyen Dong.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80. P.281
[27]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Armstrade.sipri.org 2013-06-20
[28] 문서 Fiscal Year 1975 Authorization for Military Procure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Active Duty, Selected Reserve and Civilian Personnel Strengths: Hearings, Ninety-third Congress, Second Session, on S. 3000. United States. Congress. Senate. Committee on Armed Service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4. P.1903
[29] 서적 Blindados Argentinos de Uruguay y Paraguay Ayer y Hoy Ediciones 1997-01-01
[30] 문서 Mesko, Greer and Manley, ''M41 Walker Bulldog in action'' (1991), p. 39.
[31] 문서 Kassis, ''Véhicules Militaires au Liban/Military Vehicles in Lebanon'' (2012), p. 9.
[32] 문서 Kassis, ''Véhicules Militaires au Liban/Military Vehicles in Lebanon'' (2012), p. 50.
[33] 웹사이트 LEBANON ... Scale 1/35: BULLDOG IN ASWEK http://scale35.blogs[...] 2009-05-07
[34] 문서 Kassis, ''30 Years of Military Vehicles in Lebanon'' (2003), pp. 28–29.
[35] 문서 Sex & Abi-Chahine, ''Modern Conflicts 2 – The Lebanese Civil War, From 1975 to 1991 and Beyond'' (2021), p. 80.
[36] 서적 'Modern Conflicts 2 – The Lebanese Civil War, From 1975 to 1991 and Beyond' 2021
[37] 서적 "The People's Liberation Army through the eyes of a lens, 1975–1991" 2019
[38] 서적 'Modern Conflicts 2 – The Lebanese Civil War, From 1975 to 1991 and Beyond' 2021
[39] 서적 'Tank battles of the Mid-East Wars (2)' 2003
[4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New Zealand Militar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1] 서적 'Craftsmen in Uniform: The Corps of Royal New Zealand Electrical and Mechanical Engineers: an Account' Corps of Royal New Zealand Electrical and Mechanical Engineers 1976
[42] 서적 'Timing is Everything: The Politics and Processes of New Zealand Defence Acquisition Decision Maki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9
[43] 간행물 Wings Over Wairapapa http://airforce.mil.[...] 2016-09-20
[44] 서적 Secret Weapon In Africa Progress Publishers 1977
[45] 서적 The Warrior Tradition In Modern Africa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7
[46] 서적 The World Military Order: The Impact Of Military Technology On The Third World https://archive.org/[...] Palgrave-Macmillan 1979
[47] 서적 South Africa: War, Revolution, or Peace?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1978
[48] 서적 'South Africa: White Rule, Black Revolt' Monad Press 1980
[49] 서적 World Armies Palgrave-Macmillan 1983
[50] 간행물 What Arms Embargo? http://kora.matrix.m[...] 2016-09-20
[51] 서적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and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New World Research Committee of the Society for Common Insights (Afric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Human Values) 1981
[52] 보고서 'United States-South Africa Relations: Arms Embargo Implementation: Hearings Before the Subcommittee on Africa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House of Representatives, Ninety-fifth Congress, First Session, July 14 and 20, 1977' https://catalog.hath[...] United State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17-06-28
[53] 간행물 'Angola: Racist Aggression – Communique on SA Attacks' https://books.google[...] The Journal Publishers 1982
[54] 뉴스 Taiwan Is Giving Up Its M41A3 Walker Bulldog Tanks After More Than Six Decades Of Service https://www.thedrive[...] 2023-12-02
[55] 서적 'Sonderfall Bundeswehr? Streitkräfte in nationalen Perspektiven und im internationalen Vergleich' De Gruyter Oldenbourg 2014
[56] 서적 Panzer der NATO Deutscher Militärverlag 1962
[57] 간행물 'Scouts Out! The Development of Reconnaissance Units In Modern Armies' http://usacac.army.m[...] United States Army Combined Arms Center and the Combat Studies Institute 2017-01-04
[58] 서적 The Tanks M 41 and M 47 in German Army Service Tankograd Publishing
[59] 서적 Jane's Armour and Artillery Macdonald and Jane's Publishers Ltd
[60] 서적 'Department of the Army Technical Manual FM 17-80:Tanks, 76-mm Gun M41 and M41A1' Department of the Army
[61] 서적 'Tanks : inside & out' Rosen 2012
[62] 서적 'Jane''s Armour and Artillery 1982–1983' Jane's Information Group
[63] 웹사이트 Brazil transfers M41C light tanks to Uruguayan Army https://www.janes.co[...] 2018-12-11
[64] 웹사이트 "Vietnam Loves American Booty; What Did the Vietnam People's Army do with All the Captured Weapons? - Weapons - Military Matters" https://militarymatt[...] 2020-04-11
[65] 서적 'After The Storm: The Changing Military Balance in the Middle East' Bloomsbury Publishing 2016-10
[66]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16 IISS
[67] 웹사이트 陸軍の重要な戦力として活躍 M41A3軽戦車が退役/台湾 - フォーカス台湾 https://japan.focust[...] 2022-03-04
[68] 문서 '(35779) Riots, Rebellions, U.S. Army, Tanks, Patrols, 1967' https://reuther.wayn[...]
[69] 이미지 File:LastEscapepos.jpg en:File:LastEscapepo[...]
[70] 웹사이트 掠奪戦線 http://210.189.68.74[...] CROSS OF IRON 戦争映画専門サイト 2020-10-21
[71] 서적 Tanks: Inside And Out https://archive.org/[...] Rosen Publishing Group 2015-04
[72] 서적 Department of the Army Technical Manual FM 17-80:Tanks, 76-mm Gun M41 and M41A1 Department of the Army
[73] 서적 A Compendium of Armaments and Military Hardware https://archive.org/[...] Routledge & Kegan Paul
[74] 서적 Jane's World Armoured Fighting Vehicles https://archive.org/[...] Macdonald and Jane's Publishers Ltd
[75] 웹인용 M41 워커 불독 https://terms.naver.[...] 2019-11-12
[76] 웹인용 M41 경전차 https://terms.naver.[...] 2019-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